본문 바로가기

금융 도전기

미국 ETF(8) - 물가연동채권(TIPS), #올웨더 포트폴리오

안녕하세요. 소년iz입니다.

오늘은 올웨더 포트폴리오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물가연동채에 관한 소개를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물가연동채권(Treasury Inflation Protected Securities)

 

물가연동채권은 말 그대로 채권의 원금을 물가에 연동시키는 채권으로, 이렇게 새롭게 책정된 원금에서 이자를 할당하는 채권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올해 소비자물가지수가 100인 상황에서 액면가가 1억원이고 표면이자율이 1%인 물가연동채권이 있다고 했을 때, 내년에는 소비자물가지수가 110이 되었다고 한다면 이 채권의 액면가는 11천만원으로 조정되며 이자는 이 조정된 가격의 1%110만원을 받게 되는 구조입니다.

 

일반 채권은 물가가 오름에 따라 원금의 가치가 하락하게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물가연동채는 그러한 물가 상승분만큼 원금이 오르기 때문에, 늘 원금의 가치를 보존할 수 있는 것입니다. , 물가상승시기(인플레이션) , 그것에 대한 헷지를 할 수 있는 수단으로써 사용될 수 있는 것이죠.

-여기서 살짝 원론적인 이야기를 하자면, 일반 채권이 꼭 인플레이션을 방어하지 못 하는 것은 아닙니다. 당연히 그런 인플레이션 위험에 대한 기대 심리가 일반 채권의 가치 산정에 반영되기 때문에, 일반 채권의 이자율이 물가연동채권의 이자율보다 높습니다. 즉, 높은 이자율로 인플레이션에 대한 위험을 달래주는 것이죠. 따라서 일반채권의 이자율과 물가연동채권 이자율의 차이 = 일반적인 인플레이션에 대한 기대치가 되는 것이죠. 이런 점을 고려할 때, 물가연동채에 투자한다는 것은 인플레이션이 이런 일반적인수준보다 훨씬 높게 일어날 것을 대비하기 위함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당연히 물가가 하락하는 시기에도 연동이 되기 때문에 무조건적으로 좋은 자산은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비중을 크게 가져갈 수는 없죠.)

 

# 물가연동채권 ETF의 종류

 

물가연동채권 ETF는 아쉽게도 우리나라에는 아직 없습니다. 그래서 미국 시장에 있는 네 종류의 ETF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TPZ는 만기가 15년 이상인 채권들로 구성된 ETF이기에 장기채의 성격을 갖고 있습니다.

TIP, SCHP는 만기 1년 이상의 채권들로 구성되어 있고, 평균 7년 정도의 중단기 채권의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VTIP은 만기 5년 이하의 채권들로 구성되어, 단기 채권의 성격을 갖고 있습니다. 현금적인 성격이 크다고 볼 수 있죠.

 

물가연동채권의 '수익률' 그래프, 실질적인 가격은 노란색인 TIP이 제일 높다.

 

보라색 LTPZ

빨간색 SCHP, 노랑색 TIP

파란색 VTIP

 

차트를 보면 LTPZ의 수익률이 가장 드라마틱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LTPZ10년 동안의 연평균 수익률은 7.40%나 되죠. 헷지용이 아니라 순전히 투자용으로도 적합한 수익률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어서 중단기채권들이 연평균 3% 정도, 단기 채권인 VTIP1% 정도의 수익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원론적으로 장기 채권의 성질을 갖는 LTPZ는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금리 인상을 마주할 가능성이 커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상품의 매력도가 낮아질 수 있다는 등... 그런 점에서 단기적으로 인플레이션 헷지를 할 수 있는 VTIP이 낫다는 등... 이런 저런 말이 많지만 사실 소규모의 헷지 용도로 가져가는 자산군인 만큼 절대적인 수익을 목표하는 것이 아니기에 반드시 무엇이 낫다고는 할 수 없으며, 그렇게까지 큰 고민을 할 필요도 없어보입니다. 헷지의 역할을 충실히 할 수 있는 정도면 충분하다는 것이죠.

 

하지만 단순히 위와 같은 수익률을 고려한다면 LTPZ로 마음이 끌리는 게 당연해보이는데요. 올웨더 포트폴리오로 유명하신 김단테님의 포트폴리오도 물가연동채는 LTPZ로 이루어져 있습니다.(비율은 때에 따라 달라지는 것 같지만 10%~20% 정도를, 장기 채권과 동일한 비율로 나눠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LTPZ가 보수가 제일 높다는 점, 변동성이 큰 만큼 떨어지는 폭도 크다는 점 또한 고려해야하겠습니다. 다른 블로거들은 보수가 제일 싸고, 가격도 적당하며 수익률도 중간 정도인 SCHP를 고려하는 사람들도 많더군요. 저 또한 LTPZ와 SCHP 둘 중에 고민을 하고 있는 중입니다.

 

인플레이션, TIPS가 대비하는 인플레이션은 평범한 기대 이상의 인플레이션입니다. 과연 그런 상황이 올까요?

고민하기도 귀찮고, 뭔가 너무 방어적으로 접근하는 듯한 느낌도 들게 하는 개념이 인플레이션입니다.

하지만 올웨더 포트폴리오라는 것이 모든 상황에서의 리스크를 줄이는 것이 목적인 포트폴리오이기 때문에 물가연동채, TIPS에 대한 고민은 반드시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이상 물가변동채의 정의와 물가변동채 ETF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