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도전기

(40)
미국 ETF(6) : 인간의 '소비'에 투자하라 : FSTA, 코카콜라 안녕하세요. 소년iz입니다. 여러분 코카콜라 좋아하시나요? 저는 엄청 좋아해서 늘 냉장고를 코카콜라로 채워두는 편인데요. 오늘 소개해드릴 ETF는 코카콜라와 같은 필수소비재에 투자하는 ETF, FSTA입니다. (+) 코카콜라 주식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1. FSTA (Fidelity MSCI Consumer Staples Index ETF) FSTA는 Fidelity라는 회사에서 2013년에 출시한 ETF로 역사는 좀 짧은 편에 속하는 ETF입니다. 보수는 0.08%로 저렴한 편에 속하며, 하루 평균 대금은 $9.64M로 한화 약 118억 5천만원입니다. 거래 대금이 다른 메이저 ETF에 비하면 적다는게 단점이라면 단점일 수 있겠습니다. 현재 가격은 $32.69로 한화 약 4만원입니다. 조금씩 매수하..
옵션 만기일 ? (옵션의 정의 및 옵션 만기일의 영향) 안녕하세요. 소년iz입니다. 오늘은 옵션과 옵션 만기일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옵션이란 ? 옵션은 특정 자산에 대해 미래에 특정한 가격으로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이 중 살 수 있는 권리를 Call Option, 팔 수 있는 권리를 Put Option이라고 합니다. Call Option -> 정해진 가격에 살 수 있는 권리 -> 수익 = S(미래 시점의 가격) - X(행사 가격) Put Option -> 정해진 가격에 팔 수 있는 권리 -> 수익 = X – S 즉, Call Option은 미래에 가격이 오를 경우에 수익을 얻을 수 있으며, Put Option은 미래에 가격이 내려갈 경우에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옵션은 ‘권리’라고 말했습니다. 즉, 그 내용을 꼭 행..
미국 ETF(5) : SPY와 SPYG의 차이 안녕하세요. 소년iz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ETF는 전세계 대장주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미국 시장의 지수인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 SPY와 SPYG입니다!! 우선 본격적으로 ETF를 알아보기 전에, ETF가 추종하는 지수인 S&P 500 지수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S&P 500 지수는 국제 신용평가기관인 미국의 Standard and Poors(S&P)이 작성한 주가 지수입니다.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주가 지수이며, 종목 수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500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즉,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 500개의 주가 흐름을 포괄적으로 보여주는 지수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참고로 우리가 흔히 비교 대상으로 꼽는 다우지수는 다우존스사가 ..
미국 ETF(4) : 올웨더 포트폴리오의 핵심 요소, 미국 중단기 채권 : SHY / IEF 안녕하세요. 소년iz입니다. 오늘은 지난번 미국 장기 채권 ETF인 TLT에 이은 미국 채권 시리즈, SHY와 IEF에 대해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1. SHY (iShares 1-3 Year Treasury Bond ETF) SHY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 미국의 1~3년의 만기를 가진 채권들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iShare가 브랜드명인 만큼, 블랙록에서 운용하고 있는 ETF이며, 2002년에 상장한 상당히 오랜 기간 운용되어온 ETF입니다. 보수는 0.15%이며, 하루 평균 거래 대금은 $536.02M으로 한화로는 약 6600억원 정도의 어마어마한 규모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늘 느끼지만, 미국의 ETF는 거래량이 우리와는 달리 규모가 커서 아주 좋은 것 같습니다. 적어도 안 팔릴 걱정은 할 필요..
달러 환전 얼마 정도가 적당할까? 안녕하세요. 소년iz입니다. 다들 주식에 관심을 가지신다면 당연히 미국장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게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지금까지 소개해드렸던, VT나 AOR과 같은 ETF를 사기 위해서도, 테슬라나 코카콜라와 같은 기업들의 주식을 사기 위해서라도 미국장으로 시선을 돌리는 것은 한 번쯤은 생각해볼만한 것이라고 생각이 들죠. 하지만 저의 경우에는 환율 차이로 인한 손해가 겁나기 때문에 지금처럼 환율이 상당히 높은 시기에는 미국장에 들어가고 싶어도 들어가지 못 하는 중입니다. 그렇다면 달러가 얼마 정도가 되어야 ‘아 환전 적당히 잘 했다~’고 생각할 수 있는 것일까요?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9년까지 연평균 원/달러 환율을 알아보고, 그것을 평균낸 값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다음은 2000..
금(GOLD) 관련 ETF(KODEX, IAU, GLDM) 안녕하세요. 소년iz입니다. 지난번 양적완화를 소개하는 포스팅에서 양적완화는 금과 같은 원자재의 가격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금에 투자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인 금 ETF를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국내 상장 ETF 1개와 미국 상장 ETF 2개를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1. KODEX 골드선물(H) 삼성자산운용이 상장한 ETF인 KODEX 골드선물(H)입니다. 다른 국내 상장 ETF로는 TIGER골드선물이 있지만, 거래량과 거래대금에서 너무 많은 차이가 나기 때문에 KODEX를 소개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했습니다. 다만 보수는 TIGER쪽이 훨씬 저렴하므로 보수에 많은 신경을 쓰신다면 TIGER를 고려해보는 것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금선물의 가격을 추종하는 그래프이므로..
양적 완화란? (양적 완화의 정의 및 효과) 안녕하세요. 소년iz입니다. 오늘은 금리 인하에 이은 양적 완화에 대한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양적 완화(Quantitative Easing)은 금리 인하가 0에 가까운 상태에서 더 금리를 내릴 수 없을 때 실시하는 정책으로, 중앙은행이 화폐를 발행해 국채나 회사채 등의 ‘채권’을 매입하는 정책을 말합니다. 화폐를 발행하여 시중에 유통되는 통화의 양을 증가시키는 정책이므로, 통화 정책의 한 가지라고 볼 수 있습니다. 양적완화는 2001년 일본이 처음으로 실시한 정책입니다. 그를 이어 2008년에는 미국발 금융위기 때 미국의 연준이 실시했으며, 2013년 다시 일본이 실시하였죠. 최근에는 미국의 연준이 무제한 양적완화를 선언함으로써 주목받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박근혜 정부 시절 양적 완화에 대한 ..
사이드카, 서킷브레이커 차이 안녕하세요. 소년iz입니다. 오늘은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의 차이를 알아보려고 해요. 사이드카(Sidecar) 사이드카의 어원은 교통 체증이 심할 때, 자동차(car)를 갓길(side)에 세운 것을 비유했다는 설과 이륜차 옆에 붙여 짐이나 사람을 더 태울 수 있게 만든 측차(sidecar)을 비유했다는 설이 있습니다. 저 개인적으로는 1번의 비유가 더 찰떡인 것 같은데요. 선물가격이 전일 종가 대비 4% 이상 변동(등락)하여 1분간 지속될 경우 주식시장의 프로그램매매 호가는 5분간 효력이 정지되는데 이런 조치를 사이드카라고 합니다. 이 경우 프로그램매매는 어떤 종목을 얼마에 거래할 지 컴퓨터에 미리 입력해놓는 거래방식을 뜻합니다. 선물시장의 급등락에 따라 현물시장의 가격이 급변하는 것을 막기 위한 가격안..